지질환경과학과 학번별 전공교육과정을 안내합니다.
학번별 교양 수강참조사항이 함께 안내되어 있으니(첨부파일 '학부교육과정(2007-2021)'), 입학년도별 교육과정을 잘 확인하여 수강하기 바랍니다.
교과목 이수방법
가. 교양과목
o 필수과목은 반드시 이수한다.
o 2006학년도~2010학년도 입학자
- 선택적 교양필수과목을 적용한다. 다만, 2005학년도 이전 입학자 중 교양필수 과목의 학점이 부족하거나 재이수 시 이를 이수할 수 있다.
※ 2010학년도 이전 입학자 중 교양필수 과목의 학점이 부족한 학생(재이수자 포함)은 교양선택 과목으로 변경된 종전의 교양필수 과목을 이수하거나, 2011학년도 입학자 적용 교양필수 과목을 이수할 수 있으며, 교양필수 학점이 초과되는 경우 이를 교양이수 학점 범위에서 인정함.
o 2011학년도~2016학년도 입학자
- 교양 선택
인문사회과학영역 또는 자연과학영역, 문화 및 예체능영역, 취업․창업 및 진로영역, 외국어영역의 4개 영역 중 3개 영역에서 각각 1개 과목 이상을 이수한다.
제 1영역 |
제 2영역 |
제 3영역 |
제 4영역 |
인문사회과학영역 또는 자연과학영역 |
문화 및 예체능영역 |
취업․창업 및 진로영역 |
외국어영역 |
※ 인문사회계열은 자연과학영역을 포함하고, 자연계열은 인문사회과학영역을 포함하여 3개 영역에서 각각 1개 과목 이상을 이수한다.
· (인문사회계열) 자연과학영역에서 반드시 1개 과목 이수하고, 나머지 3개 영역(문화 및 예체능영역, 취업․창업 및 진로영역, 외국어영역)중 2개 영역에서 각각 1과목 이수
· (자연계열) 인문사회과학영역에서 반드시 1개 과목 이수하고, 나머지 3개 영역(문화 및 예체능영역, 취업․창업 및 진로영역, 외국어영역)중 2개 영역에서 각각 1과목 이수
- 편입생 및 2010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영역 구분 없이 이수할 수 있으며, 2005학년도 이전 입학자 중 학점이 부족할 경우에도 이수영역에 관계없이 이수할 수 있다.
- 핵심 교양
2012학년도 입학자부터는 단과대학이 지정한 핵심교양 과목을 반드시 이수한다.
※ 타 단과대학의 핵심교양과목은 이수할 수 없으며, 이수 후 교양 선택으로 표기
o 2017학년도 이후 입학자
- 공통기초교양, 학문기초교양, 핵심교양, 일반교양 과목을 각각 이수학점 범위 내에서 이수하여야 한다.[<표2> 2017학년도 입학자 적용 교양 교과목 편성표]
- 공통기초교양 과목과 학문기초교양의 “학문의 세계와 직업”은 교양필수과목이므로 반드시 이수하여야 한다.
- 핵심교양 과목(표2) 자기계발역량, 문화적감성역량, 미래가치탐구역량, 의사소통역량, 공동체역량, 융합적사고역량 중 최소 4과목 이상 12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.
※ 핵심교양 12학점을 초과 시 일반교양 학점으로 인정
★★2017-2020 교양 교육과정 편성방법 기준개선★★
핵심교양 이수 기준 : 3개 역량에서 최소 4과목 이상 12학점 이수-> 최소 4과목 이상 12학점 이수
※ 공과대학 및 학칙 제69조 제1항 단서에 해당하는 경우(교직과정 이수자, 사범대학 복수 전공자, 사범대학 특수교육과, 기술․가정교육과, 체육교육과, 음악교육과 및 미술교육과, 공과대학 공학인증 참여 학과, 간호보건대학 보건행정학과, 응급구조학과, 의료정보학과, 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 학과 및 계약학과 등)는 예외로 함.
나. 콜라주 교과목
o 2017학년도 이후 입학자
- 콜라주 교과목은 4학점 이상(본인 전공선택 콜라주 3학점, 타 학과 콜라주 1학점 이상)을 이수하여야 함
- 편입생, 계약학과 및 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 학과(부) 소속 학생은 콜라주 의무 이수 예외
- 부․복수전공자는 원 소속 학과(전공)의 전공선택 콜라주 3학점을 의무적으로 이수하고, 부․복수전공 학과(전공)의 콜라주 1학점 이상을 이수하였을 경우, 의무 이수 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봄
※ 타 학과(전공)의 콜라주 과목을 일반선택으로 추가 이수하지 않아도 됨
다. 공학인증제시행 학부
- 공과대학 학생 중 공학인증제시행 학부(전공)의 교양필수 및 교양선택, 그리고 수학․기초과학․컴퓨터분야 교과목 이수방법은 강의일람표<별책> 공학교육인증프로그램에 제시된 내용에 따른다.
라. 일반선택과목
- 일반선택과목은 별도 강좌를 개설하지 않으며, 2006학년도 입학생부터는 타 학과(부)의 전공과목, 교직과목 및 OCU개설과목(교양선택 제외) 중에서 이수한다. 다만, 학군사관 후보생이 이수한 학점은 일반선택으로 인정할 수 있으며, 2005학년도 이전 입학자까지는 소속학과 전공선택 또는 타 학과(타대학 포함)의 전공과목, 교양․교직과목, OCU개설과목 중에서 선택 이수할 수 있다.
※ 2003 ~ 2005 학년도 입학생은 교양과목(OCU 포함)으로 이수한 학점 중 일반선택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학점의 범위는 30학점 이내로 한다.
<<2021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>>
※ 교양
1) 기초교양 (17학점)
이수구분 |
교과구분 |
교과목 |
주된 핵심역량 |
학점 (시수) |
이수방법 |
비고 |
|
기초교양 |
기초 교양 필수 (8학점) |
사고와 표현 |
글쓰기 기초 |
의사소통 |
2(2) |
필수 |
|
발표와 토론 |
의사소통 |
2(2) |
|
||||
Communication in English(L&R) Ⅰ. Ⅱ (Listening&Reading) |
의사소통 |
2(2) |
한국인강의 (난이도 고려하여 1교과 필수 이수) |
||||
Communication in English(S&W)Ⅰ. Ⅱ (Speaking&Writing) |
의사소통 |
2(2) |
외국인강의 (난이도 고려하여 1교과 필수 이수) |
||||
기초 교양 선택 (9학점) |
전공 학문 글쓰기 |
|
의사소통 |
2(2) |
|
|
|
수리·논리 |
|
가치탐구 |
|
|
|||
문해(리터러시) |
|
가치탐구 |
|
|
|||
기초과학 |
21-1 대학기초화학 21-2 기초물리학 21-2 기초통계학 |
가치탐구 |
3(3) |
지정과목 이수 |
|||
3(3) |
|||||||
3(3) |
◇ 기초교양필수
- 1학기에 글쓰기 기초, 2학기에 발표와 토론을 이수한다
- Communication in English(L&R), (S&W) 는 난이도에 따라 I, II로 구분하여 개설되며 L&R은 한국인 교수가 담당하고, S&W는 원어민이 담당한다.
◇ 기초교양선택
- 자연과학대학에서 지정한 기초교양선택 교과목 중 선택하여 9학점을 이수해야 한다(타 단과대학 과목은 이수불가).
- 지질환경과학과의 경우 1학기에 ‘대학기초화학’, 2학기에 ‘기초물리학’, ‘기초통계학’을 이수하도록 권고한다.
2) 균형교양 (12~학점)
이수구분 |
교과구분 |
교과목 |
주된 핵심역량 |
학점 (시수) |
이수방법 |
비고 |
|
균형 교양 (12~학점) |
균형교양선택1 (통찰과 사고) |
문학·철학·심리·소통 |
~ |
가치탐구 |
|
선택적 필수 |
최소 4개 영역 이상에서 12학점 이상 이수 |
자연·우주·생명·환경 |
~ |
가치탐구 |
|
||||
과학·기술·융합·창의 |
~ |
자기계발 |
|
||||
균형교양선택II (소통과 공감) |
역사·문화·예술·상징 |
~ |
자기계발 |
|
|||
사회·국가·시장·공동체 |
~ |
공동체 |
|
||||
세계·평화·윤리·젠더 |
~ |
공동체 |
|
- 균형교양은 최소 4개 영역 이상에서 12학점 이상 이수한다.
- 12학점을 초과할 경우 소양교양의 교양선택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.
3) 소양교양 (7학점)
이수구분 |
교과구분 |
교과목 |
주된 핵심역량 |
학점 (시수) |
이수방법 |
비고 |
|
소양교양 |
소양 교양필수 (2학점) |
자기관리 |
K-VALUE UP 미래설계I |
자기계발 |
1(1) |
필수 |
1학년 개설, 학과자체운영 |
K-VALUE UP 미래설계II |
자기계발 |
1(1) |
2학년 개설, 학과자체운영 |
||||
소양 교양선택 (~5학점) |
고전 |
~ |
가치탐구 |
|
선택 |
|
|
외국어 |
~ |
의사소통 |
|
|
|||
체육과 건강 예술 실기 |
~ |
자기계발 |
|
|
|||
인성, 소양 등 |
~ |
공동체 |
|
|
- K-Value up 미래설계 I, II는 학과에서 이수기준을 안내하며, 충족할 경우 S/U로 인정받는다.
※ 최소전공 인정학점
- 전공기초는 8개(24학점)의 지정과목을 이수한다.
- 전공핵심은 15학점을 이수하고, 15학점 이상 수강할 경우 자동적으로 전공심화로 분류된다. - 지질환경과학과 전공과목을 63학점 이상 이수해야 졸업이 인정된다.
※ 콜라주 교과목
- 콜라주 교과목은 4학점 이상(본인 전공선택 콜라주 3학점, 타 학과 콜라주 1학점 이상)을 반드시 이수하여야 함.
- 전공콜라주(3학점)은 전공-콜라주, 타학과 콜라주(1학점)은 융합탐색으로 이수함.
- 부·복수전공자는 원 소속학과(전공)의 전공선택 콜라주 3학점을 의무 이수하고, 부·복수전공 학과(전공)의 콜라주 1학점 이상을 이수하였을 경우, 의무 이수 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함.
※지질환경과학과 콜라주는 2학기에 개설.
※ 융합탐색
- 소속학과(전공)에서 특별히 개설하지 않고 타과의 전공필수와 선택과목, 교직과목, OCU(교양과목 제외)과목 중에서 학생이 자유로이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는 과목